우수도서

국문학

한국학 동양고전

역사 지리

철학 윤리

서양고전 외국어

교양자기개발서

글쓰기

한문학 한시

역사 지리

인문학과 사회과학 책들로 양가죽 도서목록 지갑을 살찌워 왔습니다.

이기봉 지음

가격 35,000원

발행일 2022년 12월 20일

ISBN 978-89-7411-548-7 (03900)

분야 지리, 역사

페이지 372P

크기 152*224

도서 소개

저자는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의 학예연구사로 재직하면서 우리나라의 지명 정리 작업을 20여 년간 해왔다. 그 과정에서 지난 100여 년 동안 우리말 땅이름이 수없이 사라져간 사실을 마주하며 마음 한 구석에 안타까움이 쌓여갔다. 그 안타까움을 담아 2016년에 서울·경기·인천의 수도권과 강원·충남, 울릉도·독도를 답사한 후 문헌 기록을 꼼꼼하게 비교 검토하여 초판을 보완하여 펴냈다. 독섬=石島=獨島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만들고 싶다면 독도만의 문제로만 한정할 것이 아니라 전국의 문제로 바라봐야 한다. 그 많던 우리말 땅이름을 잃어버린 이유가 한자의 뜻과 소리를 빌려 우리말 땅이름을 표기했음에도 정작 읽을 때는 한자의 소리로만 읽는 우리의 오래된 습관 때문이라는 사실도 지적하고 있다. 우리말 땅이름을 지금이라도 찾아서 되살리려는 실천이 필요함을 역설한 책으로 영문판으로 번역하여 한국 지명에 대한 내용을 다른 나라에 소개하고자 한다.

이 기 봉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서 태어나 수원 수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규장각한

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학예연구구관으로 재

직하고 있다.

저서로는고대도시 경주의 탄생(2007), 조선의 도시, 권위와 상징의

공간(2007),지리학교실(2008),평민 김정호의 꿈(2010),조선의

지도 천재들(2011), 근대를 들어올린 거인 김정호(2011), 땅과 사람

을 담은 우리 옛 지도(2014),슬픈 우리 땅이름(2016),천년의 길

(2016),임금의 도시(2017),난 고3 아빠고 파이팅을 맡고 있어(공

저, 2018),우산도는 왜 독도인가(2020),독도는 환상의 섬인가(공

저, 2020) 『하늘의 나라 신화의 나라』(2021), 『조선 최고의 개발자 김정호』(2021)『육백 리 퇴계길을 걷다』(공저, 2022)등이 있다.

Prologue | Dolor and Pride

1. Names of Villages That Have Disappeared Over the Past 100 Years

Where Is Baegae? 15

Changes in the Names of All Administrative Villages 20

Principles for Hanja Transcription 23

Arbitrary Changes to Village Names by the Japanese? 36

Reading Hanja and the Sad Reality of Pure Korean Place Names 에서 it은 뭔고?

2. Anticipating the Revival of the Good Old Name

“Dokseom”

Dokseom, a Name that has Disappeared 53

In Search of Dokseom 58

Creation and Establishment of New Place Names Prior to 1882 68

The Unreasonable Argument of Shimojo Masao 77

A New Proposal, A Wild Dream 81

3. Place Names Serving as Signposts for Travelers on the Road 런!

Dorogo(Record of Routes and Roads), Daedongjiji (Geography of Korea), and Daedongyeojido(Territorial Map of the Great East) 93

Uiju-gil: From Jangdan-eup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to Seoul 96

Dongnae-gil: From Juksan-eup in Gyeonggi-do Province to Seoul 111

Haenam-gil: From Sinchang-eup in Chungcheong-do Province to Seoul 123

Pyeonghae-gil: From Wonju-eup in Gangwon-do Province to Seoul 136

4. Place Names of Boatmen Inscribed on the Waterways

Waterways for Transportation of All Commodities 153

From Mokgye in Chungju to Eumnaru in Yeoju 156

From Eumnaru in Yeoju to Dumulmeori in Yangpyeong 177

From Dumulmeori to Yongsan and Samgae Below Old Seoul 191

From Ganghwa to Samgae and Yongsan via Boat

5. Pure Korean Place Names in Outer Seoul

The Road from the South to Sungnyemun Gate 223

The Road from the Southwest to Sungnyemun Gate and Souimun Gate(Seosomun Gate) 234

The Road from the West and the Northwest to Donuimun Gate 240

Other Pure Korean Place Names Outside the Seoul City Walls 245

The Road from the South to Gwanghuimun Gate 248

The Road from the East to Heunginjimun Gate 252

6. Exploration of Place Names Inside Seoul City Walls

The Road from Sungnyemun Gate to Sejong-daero Intersection 258

The Road from Donuimun Gate to Sejong-daero Intersection 262

The Road from Heunginjimun Gate to Jonggak 263

The Road from Jongno 3(sam)-ga Intersection to Donhwamun Gate 267

The Road from Souimun Gate(Seosomun Gate) to Jonggak 269

The Road from Gwanghuimun Gate to Sungnyemun Gate 273

The Road from Gwanghuimun Gate to Jageun-gwanggyo 281

Names of Bridges over Cheonggyecheon Stream 285

The Road from Hyehwamun Gate(Dongsomun Gate) to Jongno 288

The Road between Gyeongbokgung Palace and Changdeokgung Palace 291

The Road between Gyeongbokgung Palace and Mt. Inwangsan

7. In Search of the Lost Hometown Names

Pure Korean Name of My Beloved Hometown 304

Ssanghak 2(i)-ri, Another Familiar Name of My Hometown 312

A New Place Name, Bibong-myeon 316

Batkke, Home of My Maternal Relatives 318

The Villages of My Friends at Bibong Elementary School 322

Names of Villages I Saw on the Way to School in Suwon 336

Table 1. Cases of (Dok) appearing as the first letter of pure Korean land names in Hanguk Jimyeong Chongnam(A Comprehensive Survey of Korean Place Names). 344

Table 2. Cases of “Dok” used to mean “Dol”(stone, ) in pure Korean land names in Hanguk Jimyeong Chongnam(A Comprehensive Survey of Korean Place Names). 350

Table 3. Cases of the pure Korean word “dok” which was written in Hanja as “seok”() in Hanguk Jimyeong Chongnam(A Comprehensive Survey of Korean Place Names). 366

뒤로가기


TOP